웹 3.0은 기본적으로 웹 2.0의 핵심인 읽기와 쓰기를 넘어 “소유”의 개념이 더해진 것이다. “탈중앙화된 관리자 개입이 없는 웹”이라고 할 수 있다.

데이터의 저장과 사용, 소유가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완전히 개인화된 인터넷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개념이다.

웹 2.0의 문제

  • 구글, 페이스북, 우버, 에어비엔비 등 WEB 2.0의 대표기업들은 그들의 서비스를 위해 ‘플랫폼’이라는 이름으로 폐쇄적인 네트워크 모델을 구축했다. 개인이 정보를 Read , Write, Publish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보는 전파되었고, 이는 곧 소셜미디어 시대의 시작이 되었다.개인 정보가 굉장한 자산이고 이는 엄청난 수익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게 된 기업들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적재하기 시작하게 된다. 개인정보 데이터를 사유화하여 독점하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모델을 구축하고 , 수익을 창출했다.소셜미디어의 “재미와 편의성”을 “개인 정보 및 보안”과 Trade off 한 결과를 초래하였다.
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“탈중앙화” 개념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, 이를 실현할 기술이 없었고 

WEB 3.0에서는 블록체인, 분산원장, NFT 등 이를 실현할 기술이 등장했다.

 

웹 3.0의 등장

  •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은 기업이 아닌 사용자가 소유
  • 데이터 분산 저장을 통한 보안성 향상
구분 web 1.0 web 2.0 web 3.0
특징 비교적 탈중앙화 중앙화 탈중앙화
컨텐츠 생성 및 소유 생성, 소유 X (Static) 생성O, 플랫폼 기업 소유 생성O, 사용자 소유

수익 모델 - 사용자 정보로 플랫폼 기업이 수익 창출 사용자의 참여로 수익 배분
인증 / 보안 ID / PW  ID / PW / 기타 인증 가상자산, 프라이빗 키
핵심 기술 WWW, 쿠키 빅데이터, 클라우드 블록체인, NFT, 메타버스

 

  •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에 종속되지 않고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은 기업이 아닌 사용자가 소유
  • 데이터 분산 저장을 통한 보안성 향상

웹 3.0의 블록체인

  • ‘가트너’의 하이퍼 사이클에 따르면 블록체인은 환멸기를 지나 성숙기로 향하는 중
  • 기술 자체에 대한 관심을 지나 실제 적용 가능한 영역에 투자가 집중되는 단계

웹 3.0의 분산 원장 기술

  •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, 저장하는 기술이다.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형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이 되었다. 
  • 블록체인에서 ‘블록’은 개인과 개인의 거래(P2P)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장부가 된다.
  • 이런 블록들은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‘사슬(체인)’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. 
  • 모든 사용자가 거래내역을 보유하고 있어 거래 내역을 확인할 때는 모든 사용자가 보유한 장부를 대조하고 확인해야 한다.

웹 3.0의 NFT

  • 대체 불가능 토큰으로 데이터, 자산의 거래 내역과 소유권을 저장한다. 해당 데이터, 자산, 디지털 작품은 누구나 복제하고 저장가능하다. 디지털 자산은 이미지, 영상, 음악 등이 될 수 있다. NFT는 블록체인에 제작자가 고유 식별자를 처음 입력하는 시점에 생성(민팅)된다. 트위터의 경우 NFT 이미지의 소유자만 프로필이미지로 등록 가능하게 했고, 복제된 이미지를 직접 업로드할 경우 실소유주가 아니란걸 알 수 있다.
{
    name: "이름",
    image: "ipfs://QmPZKvdf9boGsJL2CmMKadsfa2dfFFDfds39zVz96NxkEjBTDMxZoqJHWrEnP",
    description: "설명"
}
디지털 자산의 주소를 ipfs에 저장하기때문에, url 자체에 대한 보안 우려는 줄어듬
Http로 저장된 주소도 사용가능하지만 지양해야함

 

IPFS

    • https 이후의 차세대 통신 프로토콜로 주목 받는 기술이다. '분산 해시 테이블(DHT: Distributed Hash Tables)' '비트토렌트(BitTorrent)' '깃(Git)' '자체 인증 파일시스템(SFS: Self-Certified File systems)' 등 기존에 개발된 P2P 요소 기술을 종합한 분산 파일 시스템이다. 핵심 원리만 차용했을뿐 블록체인 기술은 아니다. https는 클라이언트 : 서버 = 1:1 관계를 가지지만, ipfs는 조각화되고 분산 저장된 데이터를 hash값(고유 id)을 통해 node에게 요청하고 없다면 다른 노드에게 요청하는 방식 ( 수소문(?) 해서 찾아가는 방식)
    • http(s) : 찾는 ‘주소'를 시스템에 전달하여 데이터 식별
    • ipfs : 찾는 ‘대상’을 시스템에 전달하여 데이터 식별

 

WEB 2.0 어플리케이션의 대체로 등장한 WEB 3.0 어플리케이션

마케팅 용어인 WEB 3.0

“실리콘 밸리가 ‘월가’로부터 투자 유치를 이어나가기 위한 유행, 마케팅 용어일 뿐이다"

 

준비해야할 미래

  • WEB 3.0은 아직 모호하지만, 미래 WEB의 목표인 것은 확실하다.
  • 중앙집중적이고 독점적인 WEB 2.0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합리적인 주장이면서 목표이다.
  • 아직까지는 뜬구름 잡는 마케팅 용어이지만, 이 목표를 위한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.
  • 한순간에 탈중앙화가 이루어지고 WEB 3.0이 도래하진 않지만, 이러한 패러다임은 반드시 다가올 것 이기때문에 준비 해야한다.

 

'Resear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resDB  (0) 2023.04.19
PWA 개념과 react에 PWA 적용하기  (0) 2023.02.21
Jager(예거)에 대해서  (1) 2022.12.26
Git 활용 방법과 브랜치 전략  (1) 2022.11.30
Prometheus(프로메테우스) 개념 및 timescaleDB로 변환  (0) 2022.11.30

+ Recent posts